기계 (machine)

파이프 금속관과 비금속관 종류와 차이

  1. 파이프
    물,가스,공기등을 운반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이 되는 관
    재질에 따라 금속과 비금속으로 구분
    제조 방식에 따라 용접강관과 무계목강관
    용도에 따라 업배관용 / 보일러, 열교환기용 / 기계구조용 / 위생관 / 일반 배관용
    표면에 따라 AP-Annealded & Pickled / BA-Brightannealed / EP – Elctropolishing
  2. 금속관 파이프의 종류
    • 금속관 파이프는 주철관 / 강관 / 동관 / 동합금관 / 연관 / 알루미늄관 / 주석관 / 스테인레스관 등으로 구분
    • 주철관
      • 스테인레스관보다 가격이 저렴해서 많이 사용을 한다. 압축강도가 높고 내식성,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도로에 매설되는 상수도 배관 및 하수도 배관으로 많이 사용이 되며 최근에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추철관에서 합성 주시관, 합성수지 피복 강관 등 추세로 넘어가고 있다.
    • 강관
      • 보일러 라인등에 사용되는 파이프로 많이 사용이 되며 접합면 부위의 유무에 따라 무계목관과 용접강관으로 분류가 된다.
      • 무계목관의 경우 용접이 아닌 프레스로 압축하는 방식을 통해 제작이 되며, 용접강관은 철판을 구부려 둥근 관 형태로 만들고 이음매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된다.
      • 백관은 아연도금처리를 한 강관으로 부식에 강하며 에어 배관, 냉각수 배관등 사용이 된다. 인체에 좋지 않기 때문에 용도에 맞게 사용을 해야 하며 최근에는 실내에 노출을 시켜 인테리어에 그래도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 동관 / 동합금관
      • 열전도성, 내식성이 우수해 음용수 배관, 냉온수 배관, 열교환기 등으로 많이 사용이 되는 동관으로 전기로 인한 부식이 취약해 반드시 절연 조치를 해야 한다. 스텐 관도 전기부식에 취약하지만 동관은 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다. 고가의 비용으로 인해 많이 사용을 하지 못하고 같은 무게를 기준으로 2~3배 이상 가격이 비싸다.
    • 스테인레스강
      • 내식성과 위생면에서 높은 성능이 있는 관으로 음용수 배관, 냉온수 배관, 식품 배관, 위약품배관 등 다양한 산업과 설비, 일상에서 사용이 된다.
      • 사용용도에 따라 배관용, 구조용, 튜브관으로 나뉘며 각 용도별로 각기 다른 재질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동관과 함께 저기 부식에 취약하다.
    • 알루미늄관
      • 열전도성, 내식성등이 우수해 액체을 기체로 바꾸기 위한 기화기 열교환기 배관으로 많이 사용이 되는 관으로 일상과 산업에 많이 사용되는 에어컨 등에 자주 사용이 된다.
  3. 비 금속관 파이프 종류
    • 비 금속관 PVC / 폴리에틸렌관 / 고무호스 / 목관 / 유리관 등으로 구분한다.
    • 염화 비닐관 (PVC)
      • 염화비닐수지를 원료로 만든 파이프로 PVC관으로 불린다.
      • 내식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며 유류 등에 전혀 침식되지 않아 수도배관 및 위생 배관등으로 널리 사용이 되고 있으며, 무독, 무취의 성질로 인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 내면이 매끄러워 마찰저항이 적게 나타나며 동일 규격의 강관보다 30%정도 유량이 크게 나타난다.
      • 전기 전열 성도 우수한 PVC관은 전선 도관용으로 널리 사용이 되며 가벼운 무게와 연결 부속과의 간편한 접합, 효율적인 시공성 등 장점을 갖추고 있어 배관용으로 우수하게 사용되는 제품이다.
    • 폴리에틸렌관 (PE)
      • 폴리에틴렌 수리를 원료로 만든 파이프로 PE관이라 불린다. 중량이 가벼워 연성의 성질로 충격에 강하며, 내 부식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나 50년 이상의 수명이 가진다. 장거리 구간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조임식과 응착식으로 2가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융착식을 사용해 연결해야 완벽한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